국민건강보험,알콜성 정신장애’ 진료환자 60대 남성이 제일 많은것으로 나타나

이인용 기자 | 기사입력 2012/11/18 [21:07]

국민건강보험,알콜성 정신장애’ 진료환자 60대 남성이 제일 많은것으로 나타나

이인용 기자 | 입력 : 2012/11/18 [21:07]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5년간(2007~2011년) ‘알코올성 정신장애(F1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7년 6만6,196명에서 2011년 7만8,357명으로 1만2,161명이 늘어 연평균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남성은 2007년 5만3,767명에서 2011년 6만3,859명으로 연평균 4.4%로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7년 1만2,429명에서 2011년 1만4,498명으로 연평균 3.9% 증가하여 남성의 증가율이 여성보다 높았다. 또한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은 2011년 기준 남성이 여성보다 4.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2007년 223명에서 2011년 257명으로, 여성은 2007년 52명에서 2011년 59명으로 모두 1.2배 가량 증가하였다.
 
2011년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알코올성 정신질환’ 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50대(316명) > 60대(310명) > 40대(239명) 순(順)이다.
 
이중 남성은 60대(583명) > 50대(545명) > 70대(473명) 순(順)이며, 여성은 40대(97명) > 50대(87명) > 30대(78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2007년 대비 2011년 증가율(인구 10만명당)을 살펴보면 20대 미만에서 증가폭이 두드러졌고, 30대 남성에서는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로 인한 총진료비는 2007년 1,190억원에서 2011년 1,905억원으로 연평균 12.5% 증가하였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연평균 12.8%, 여성의 경우에는 연평균 10.0% 증가하였다. 또한, 2011년 기준 남성의 진료비는 여성에 비해 8.9배 많았다.
 
최근 5년간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를 살펴보면 2007년 179만8천원에서 2011년 243만1천원으로 약 1.4배 증가하였고, 남성의 진료비는 여성보다 약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을 기준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남성은 인구 10만명당 50대와 60대의 진료환자수가 많았으나 환자 1인당 평균진료비는 60대(3,544천원), 70대(3,519천원) 順(순)으로 많았고, 여성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40대, 50대 진료환자수가 많았으나,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70대(2,300천원), 60대(1,968천원)順(순)으로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병욱 교수는 ‘알코올성 정신장애’ 질환의 치료법 및 예방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란  과도한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여 내성이나 의존이 생기는 ‘알코올 사용장애’와 알코올로 인하여 인지기능이나 기분, 수면, 정신병적 증상 등이 생기는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를 알코올성 정신장애라 한다.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증상 및 합병증의 종류호는‘알코올 사용장애’는 알코올 의존, 알코올 남용이 있으며,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는 알코올 금단, 알코올 금단 섬망, 알코올 유도성 기억장애, 알코올 유도성 치매, 망상이나 환각을 동반한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 알코올 유도성 기분 장애, 알코올 유도성 불안장애, 알코올 유도성 수면장애 등이 있다.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주폭’과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관계를 보면, 알코올은 뇌가 평소에 억압하고 있는 분노나 감정의 통제를 풀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술로 인해 긴장이 풀릴 때 공격적, 반사회적 행동이 나오는 것은 술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충동 조절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따라서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주폭’은 알코올성 정신 장애라기보다는 충동 조절 장애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알코올 유도성 정신 장애일 경우에는 만성적 음주로 인한 뇌의 변화를 동반하며 술을 마시지 않을 때에도 기분이나 불안, 충동 조절의 어려움들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주폭(酒暴) : 만취상태에서 상습적으로 상가, 주택가 등에서 인근 주민 등 선량한 시민들에게 폭력과 협박을 가하는 사회적 위해범>
 
‘알코올성 정신장애’ 60대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로는 알코올성 정신장애는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알코올 사용 장애와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를 포함한다.
 
특히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는 만성적 음주로 인해 기억장애, 정신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이 생기는 것이므로 수십 년 음주를 해 온 60대에서 젊은층 보다 더 많이 나타난다.
 
또한, 알코올 사용장애의 경우, 사회 경제적 활동을 하지 않게 되고 노년기의 정신적 위기를 맞게 되는 60대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의 치료법은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치료에는 개입, 해독, 재활의 3단계가 있고, 입원, 외래 치료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항갈망제 등 알코올에 대한 약물치료, 정신사회적 치료가 필요하고, 인지행동치료, 정신치료, 가족치료, 집단치료, 행동치료, 동기강화치료, 사회기술훈련 등도 필요하다.
 
치료 시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함은 물론이다. 재활은 환자에게 단주에 대한 동기를 고취시켜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다. 알코올로 인한 정신과적 장애는 각 증상에 따라 치료한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 예방법은 예방을 위해서, 음주에 대해 관대한 사회문화적 분위기가 바뀌어야 하고, 과도한 음주의 폐해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이 있어야 한다. 특히, 알코올성 정신장애가 질환이라는 인식을 고취시키고 조기 교육을 통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