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헌 의원 "백신 오접종 2,014회, 피해보상은 0건...제대로 관리.처우해야"

유효기간 지난 백신 주입 727건, 허용되지 않은 백신 교차접종 486건...정량보다 적게 주입 270건

배종태 기자 | 기사입력 2021/10/12 [19:58]

백종헌 의원 "백신 오접종 2,014회, 피해보상은 0건...제대로 관리.처우해야"

유효기간 지난 백신 주입 727건, 허용되지 않은 백신 교차접종 486건...정량보다 적게 주입 270건

배종태 기자 | 입력 : 2021/10/12 [19:58]

▲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 (부산금정구)    ©배종태 기자

 

[브레이크=배종태 기자] 백신 오접종이 총 2,014회이지만, 피해보상은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백종헌(보건복지위부산 금정구)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백신 오접종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며 국민들의 우려와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백신 오접종 사례 2,014회 중 실제로 피해 보상한 사례는 전혀 없는 등 오접종 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을 주입한 사례는 727건으로 오접종 사례 중 가장 많았다. 허용되지 않은 백신으로 교차접종한 사례 486건, 허가된 정량보다 적게 주입한 사례는 270건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94회로 가장 많았고 서울 332회, 부산 272회 순이었다. 또 백신별 오접종 현황을 살펴보니, 화이자가 1,100회로 가장 많았고, 아스트라제네카 557회, 모더나 295회, 얀센 62회순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오접종으로 인한 질병청 이상반응 관련 부서는 이상반응신고를 40건으로 파악하고 있는 등 질병청 내에서도 오접종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질병청이 파악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 오접종 피해보상 현황은 단 한 건도 없다(9월 29일 기준). 이는 정부의 관리 소홀로 인해 2,014건의 백신 오접종 사례들이 발생했지만 피해보상은 단 한 건도 없었다는 의미다.

 

질병청이 백신접종을 허용한 16,271개소 위탁의료기관에서 오접종 사례가 1,853건이 발생했으며, 예방접종센터 79회, 보건소 82회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백신 오접종 책임으로 인한 위탁계약 해지 건수는 14건(9월 27일 기준)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질병청은 '지자체' 소관이라며 오접종 의료기관에 대해 제대로 관리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오접종 후속조치로 지정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현장점검, 교육 강화, 계약해지 등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 역시 관할 보건소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의료기관 과실로 오접종이 발생했을 때, 보호자는 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으며, 절차를 거쳐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의료기관 과실에 대해 국가가 피해보상을 한 경우, 국가는 감염병예방법 제72조에 따라 오접종을 한 의료기관에 손해배상 청구 등을 할 수 있다.

 

백종헌 의원은 “현재까지 오접종 피해자들에 대한 제대로 된 이상반응 통계도 파악하지 못하는 질병청 모습이 안타깝다”며 “당장 이상반응이 보이지 않는다며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아무런 과실이 없다는 듯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모습은 상당히 무책임하다. 적어도 오접종자들에게는 국가가 제대로 관리하고 처우해야 한다”라고 요구했다.

 

아래는 위의 글을 구글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Below is an English <Full text>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or.] 

There were a total of 2,014 misinoculations, but there was no compensation for damages.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Rep. Baek Jong-heon (Geumjeong-gu, Busan), the People's Power, showed that the government actually compensated for damages out of 2,014 cases of vaccine misinoculation at a time when people's concerns and anxiety are growing due to the steady occurrence of vaccine misinoculation cases. There were no cases at all, indicating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management of misinoculation.

 

In particular,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expired vaccine was injected was 727 cases, the most among the cases of misinoculation. There were 486 cases of cross-vaccination with an unacceptable vaccine, and 270 cases of injections lower than the approved dose.

 

By region, Gyeonggi-do had the most with 594, followed by Seoul with 332 and Busan with 272. Also, when looking at the status of misinoculation by vaccine, Pfizer had the most with 1,100, AstraZeneca with 557, Moderna with 295, and Janssen with 62.

 

However, there is criticism that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is not properly aware of the misinoculation, such as 40 cases repor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According to the data identifi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there has not been a single case of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incorrect vaccination against COVID-19 (as of September 29). This means that 2,014 cases of vaccine misinoculation occurred due to the government's negligence, but there was no compensation for damages.

 

There were 1,853 cases of misinoculation at 16,271 consigned medical institutions that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llowed vaccination, 79 cases at vaccination centers and 82 cases at public health centers.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only 14 cases (as of September 27) that the consignment contract was canceled due to responsibility for incorrect vaccination.

 

In response,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not properly managing medical institutions for inoculation. As a follow-up measure for misinoculation, on-site inspections, reinforcement of education, and contract termination are carried out for 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this is also being implemented by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itself.

 

When an erroneous vaccination occurs due to the negligence of a medical institution, the guardian can apply for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vaccination and can receive compensation for damage through the procedure. If the state compensates for damage caused by the negligence of a medical institution, the state may file a claim for damages, etc., with a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incorrectly vaccina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72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ssemblyman Baek Jong-heon said, "It is unfortunate that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as not been able to grasp the proper statistics on adverse reactions to victims of misinoculation until now. Appearance is quite irresponsible. At least, the government should properly manage and treat those who are misinoculated.”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