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녹위-부산시, 탄소중립 포럼 개최...'중앙.지방 소통을 통한 실질적 탄소중립 협력방안 모색'11월 부산에서 열릴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 대비...‘순환경제’ 되짚어 봐
[브레이크뉴스=배종태 기자]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부산시는 탄소중립 포럼을 공동 개최하고 실질적 탄소중립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탄소중립 포럼은 탄소중립·녹색성장과 관련한 지역 현안을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함께 논의하고,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탄녹위(공동위원장 :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는 4일 부산 벡스코에서 '탄소중립·녹색성장 부산포럼'을 진행했다.
이날 포럼은 보스턴컨설팅그룹의 알렉산더 마이어 줌 펠데 파트너의 '자원순환 고리의 구축을 통한 번영의 재설계'라는 주제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지속 가능한 자원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 산업계 대응 과제, 부산시 대응 방안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알렉산더 마이어 줌 펠데 파트너'는 순환경제 도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약 35% 이상 줄일 수 있으며, 한국의 순환경제 시장 잠재력은 2030년까지 1,000억 달러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한국 사회와 기업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지속가능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기회라며, 이를 위해 정부는 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하며 기업들은 더 적은 원자재(virgin resources)로 더 많은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는데 역량을 집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민‧관‧산‧학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대기업의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중재 역할을 강화하고, 세금 혜택이나 규제 완화 등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한편, 이번 포럼은 11월 부산에서 열릴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를 앞두고, 기후위기 시대에 필수적인 경제시스템인 ‘순환경제’를 되짚어보기 위해 준비되었다.
유엔 플라스틱 협약은 2022년 3월, 유엔 환경총회(UNEA)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 시키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개발하기로 합의 (1차 우루과이 푼타델에스테, 2차 프랑스 파리, 3차 케냐 나이로비, 4차 캐나다 오타와, 5차 대한민국 부산)한 바 있다.
순환경제는 기존의 자원 채취-생산-소비-폐기의 직선경제 산업구조를 대체하는 경제모델로, 원자재를 이용한 제품 생산부터 유통, 소비, 수거까지 모든 과정이 순환되어 자원을 재사용하고 폐기물을 최소화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재활용 산업 육성, 기술 혁신 촉진, 순환 경제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국제 협력을 강화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들은 폐플라스틱, 폐배터리 재활용 등 신기술 개발을 통해 순환경제 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폐자원의 에너지화 또는 재활용 하거나, 산업화 육성을 통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다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 "이와 관련된 새로운 혁신 기업들을 이곳에서 많이 창출을 하고, 또 그 혁신 기업들의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는 것을 동시에 저희가 복합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어 "이런 과정을 통해서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45% 감축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추진 중이다. 2050년에는 탄소 중립 도시가 되겠다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탄소 감축이나, 이런 새로운 기후변화에 대응한 그린 스마트 도시를 만드는 것은 대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전 세계에 아마 대도시가 뿜어내는 온실가스가 대부분이라고 생각을 해서, 대도시 간의 경쟁이 저탄소 분야에서 활발해질 수밖에 없다. 그 분야에서 선도 도시들은 여러 면에서 가장 앞서 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박 시장은 "그런 면에서 부산도 탄소중립 도시를 단순히 온실가스 줄이는 것만이 아니라,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삼겠다"라며 "오는 11월 부산에서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 ICO가 열린다. 여기에도 전문가들이 모두 참여해서 자원순환경제의 동향을 공유하고 순환 경제 협력 방안 등 오늘 포럼에서 만들어지는좋은 대안들이 거기에도 반영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김상협 위원장은 “부산은 이제 아름다운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부산에서, 글로벌 해상 도시로 굉장히 빠른 속도로 바뀌어 나가고 있다."며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양 컨퍼런스도 부산에서 아마 열게 될 것이며, 부산은 이제 대한민국의 두 번째 도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보는 도시로 나가면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자원 순환경제는 단순한 경제적 효용성을 넘어 미래 세대를 보호하는 핵심 전략”이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지역 사회와 정부, 산업계가 협력하여 혁신적인 자원 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해 나가는데 중요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부산에서 열리는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정부간 협상위원회에서도 대한민국이 이러한 순환경제 모델을 글로벌 무대에서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글로벌 환경 리더로서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 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2050 and Busan City co-hosted a carbon neutral forum and explored practical carbon neutrality cooperation measures.
The carbon neutral forum is a place where local governments and the central government can discuss local issues related to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and explore practical cooperation measures. The Nocturne Committee (Co-chairs: Prime Minister Han Deok-soo, KAIST Vice President Kim Sang-hyeop) held the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Busan Forum' at BEXCO in Busan on the 4th.
The forum began with a keynote speech by Alexander Meyer Zum Felde, a partner at Boston Consulting Group, on the topic of "Redesigning Prosperity through Building a Resource Circulation Loop," followed by presentations on policy directions for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industry response tasks, and Busan City's response measures.
'Alexander Meyer Zum Felde Partner' suggested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can be reduced by about 35% or mor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circular economy, and that the potential of the circular economy market in Korea will grow to over $100 billion by 2030.
He emphasized that this is an opportunity for Korean society and companies to simultaneously achieve two effects: creating economic value and improving sustainability.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incentive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by companies, and companies should focus their capabilities on creating more economic opportunities with fewer virgin resources.
In the discussion that followe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trengthen their mediating role and provide incentives such as tax benefits and deregulation so that startups with innovative ideas and technologies can utilize the resources and networks of large companies.
Meanwhile, this forum was prepared to look back on the 'circular economy', an essential economic system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ahead of the '5th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of the UN Plastics Convention' to be held in Busan in November.
The UN Plastics Convention was agreed to develop a legally binding agreement to end plastic pollution at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UNEA) in March 2022 (1st Punta del Este, Uruguay, 2nd Paris, France, 3rd Nairobi, Kenya, 4th Ottawa, Canada, 5th Busan, South Korea).
The circular economy is an economic model that replaces the existing linear economic industrial structure of resource extraction-production-consumption-disposal, and pursues sustainable growth by reusing resources and minimizing waste through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 production using raw materials to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collection.
To this end,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fostering the recycling industry,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panding the circular economy market. In addition, it plan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support domestic companies to becom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Domestic companies are responding quickly to the circular economy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such as recycling waste plastics and waste batteri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fostering the recycling industry,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xpanding the circular economy market. In addition, it plan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support domestic companies to becom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Domestic companies are responding quickly to the circular economy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such as recycling waste plastics and waste batteries.
Busan Mayor Park Hyung-joon said, "We recognize that this is an industry that creates new added value by converting waste resources into energy or recycling them, or by fostering industrialization," and added, "We are simultaneously creating many new innovative companies here and creating many good jobs for these innovative companies, which is our combined goal."
Mayor Park continued, "Through this process, we are pursuing an ambitious goal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by 45% by 2030 compared to 2018. We plan to become a carbon-neutral city by 2050. Carbon reduction and creating green smart cities that respond to new climate change can only be centered around large cities. Considering that large cities emit most of the greenhouse gases in the world, competition among large cities is bound to be active in the low-carbon sector. I think that leading cities in this sector will inevitably be the most advanced in many ways."
Mayor Park said, "In that sense, Busan will also make carbon-neutral a city not only to reduce greenhouse gases, but also to use it as the most important means to increase the city's competitiveness."
He added, "The 5th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ICO) for the UN Plastics Convention will be held in Busan in November. I hope that experts will all participate in this event to share trends in the resource circulation economy and that the good alternatives created at today's forum, such as circular economy cooperation plans, will be reflected there as well."
Chairman Kim Sang-hyeop said, “Busan is now rapidly changing from a beautiful port city of South Korea to a global maritime city. The world’s most important maritime conference will probably be held in Busan, and Busan should no longer be South Korea’s second city, but a city that sees the new future of South Korea.”
Chairman Kim said, “The circular economy is a key strategy for protecting future generations beyond simple economic efficiency. Through this forum, I hope that local communities, governments, and industries can work together to find innovative ways to activate the circular economy and take important steps toward implementing it in practice.”
He also added, “I hope that South Korea will take the lead in presenting this circular economy model on the global stage at the UN Plastics Convention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held in Busan and take the lead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as a global environmental leader.” <저작권자 ⓒ 부산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