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에서 변화와 재생'을 꿈꾸는 2019바다미술제 개막

배종태 기자 | 기사입력 2019/09/28 [10:11]

'상처에서 변화와 재생'을 꿈꾸는 2019바다미술제 개막

배종태 기자 | 입력 : 2019/09/28 [10:11]

 

  이승수 작가의 <어디로 가는가> -인간에 의해 병들어 가는 자연과 그것을 직면하고 해결해 나아가야 할 현시대의 자연환경 문제를 다시 한번 상기 시킨다. 다대포 해변의 산책로를 따라 해변의 정중앙으로 들어서면 성인 남성의 키와 비슷한 크기의 인간 군상들이 불규칙적으로 퍼져 서 있다. © 배종태 기자


'상심의 바다(Sea of Heartbreak)'를 주제로 '2019 바다미술제'가 28일부터 10월 27일까지 부산 사하구 다대포해수욕장에서 진행된다.


이번 미술제에는 12개국 35명의 작가 참여, 21개 작품들을 통해 '상처의 바다', '변화의 바다', '재생의 바다' 등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됐다. 상처에서 변화와 재생을 꿈꾸며 작품들은 아름답게만 보이는 바다 이면에 존재하는 여러요소들을 수면 위로 꺼내어 다대포해수욕장과 해변공원, 다대쓰레기소각장에 펼쳐 놓는다.

 

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는 27일 프레스프리뷰에 이어, 이날 오후 4시 오거돈 부산시장, 김성연 집행위원장 및 서상호 전시감독 등과 지역 미술인, 시민 등 1,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공식 개막식을 진행하고 작품들을 공개한다.

 

서상호 전시감독은 "바다미술제는 3가지 섹션으로 구성된 작품 전시와 학술, 참여 프로그램 등이 마련됐다"며 "여러 사람과 함께 삶과 밀접한 쟁점에 관해 대화하고, 소통하는 참여형 방식이 적용된다. 관람자가 전시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1인 창작자가 아닌 콜렉티브 방식의 참여가 이번 행사에 더해진다"고 설명했다.

 

 2019바다미술제 프레스프리뷰 기자회견에서 부산비엔날레조직위 김성연(우) 집행위원장과 서상호 전시감독이 2019바다미술제 작품 및 주제 '상심의 바다' 선정 배경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배종태 기자

 

이창진 작가의 수통(水桶)- 물과 색은 주된 재료로 이 번 전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수천여 개의 각기 다른 색을 담은 페트병들은 수평선을 배경으로 균형과 조화를 이야기한다. 이제까지의 작업에서는 정제되고 흐트러짐 없는 수평을 맞추었다면 이번 작품 <수통(水桶)(2019)은 해변이라는 열린 공간에서 자유로운 형태와 색감에 집중한다© 배종태 기자

 

서 감독은 "미술제는 '생태’와 ‘환경', '재생'을 통하여 더 나아가 ‘치유’가 공존하는 예술 축제의 장이 될 것"이라며 "참여자와 수용자 모두에게 생태와 환경을 직접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진정한 축제를 만들고자 한다. 예술을 삶에서 떼어 특별한 것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삶과 다시 연결 짓는 계기도 마련될 것"이라고 이번 미술제의 의미를 강조했다.

 

바다미술제가 다대포해수욕장에서 열리는 것은 2015 년, 2017 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이다. 이번 미술제는 다대포해수욕장이 가진 본연의 장소성에 주목한다. 대부분의 국내외 작가들이 작품 구상단계부터 해수욕장 현장을 직접 방문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심의 바다’라는 주제가 함의하는 지점과 다대포해수욕장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요소들을 작품으로 표현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으며, 해수욕장 자연 고유의 특징과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한다.  

 

수십여 개의 군상으로 이루어져있는 이승수 작가의 <어디로 가는가>는 다대포해수욕장의 해변 정중앙에 위치하여 자연과 어우러져 매 시간마다 이목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마니쉬 랄 쉬레스다의 <수직 물결(Vertical Wave)>(2019)은 부산 시민들로부터 1,500여 벌의 헌 옷을 기증받아 실과 바늘로 엮어 108미터 길이를 이어낸 태피스트리 형태 의 작품이다. 작품의 주재료인 ‘헌 옷’은 개인의 경험, 감정, 분위기, 아름다 움 등을 함유하고 있는 대상이고, 인류 사회의 연대기적 발전사의 상징이다  © 배종태 기자

 본폴 포티산의 <바다의 절규>는 인간의 귀 형상을 비현실적으로 대형화한 작품이다. 얇게 조각낸 대나무 살을 이용해서 뼈대를 만들고, 그 위에 황토와 짚을 섞어 만든 반죽을 얹어 귓바퀴, 외이, 중이, 내이로 이어지는 긴 구조의 형태를 갖추도록 했다.© 배종태 기자


송성진 작가는 광활한 다대포해수욕장의 한 가운데 설치한 <1 평>을 통해 거주에 대한 재해석과 난민에 대한 작가적 시선을 표현했다. 약 1,500 여개의 대나무 기둥으로 구성된 알프레도 & 이자벨 아퀼리잔의 작품 '바람의 이야기, 바다의 서사'는 바람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극대화하여 자연이 가진 에너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상처 입은 자연의 절규를 고스란히 표현하고 있다.

 

마니쉬 랄 쉬레스다의 <수직 물결>은 시민과 단체가 기부한 옷 1,500여 벌로 만들어진 108m의 설치 작품을 해변공원에 전시됐다. 또한 이창진 작가의 <수통>은 형형색색의 페트병 6,000여 병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임협 프로젝트의 <임협 프로젝트 #1> 칠성사이다 박스 2,000여 개를 쌓아 올린 작품이다.

 

바다미술제의 출품작들은 이처럼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함께 어우러지며, 시시각각 변하는 바다의 자연적 요소들과 작품들이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순간들은 관람객들로 하여금 자연에 대해 다시 한번 사유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가 이광기는 2013년 이후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던 다대쓰레기소각장의 외벽 측면 상단부에 LED 전광판 형태로 제작된 <쓰레기는 되지말자(Let's Not Be Trash)>는 스스로 질문에 대한 단도직입적인 답변을 하고 있다.© 배종태 기자

 

  아트 투게더(홍콩)- 상심의 웅덩이 © 배종태 기자

 

이번 바다미술제에 참여하는 콜렉티브 그룹인 홍콩의 아트 투게더(Art Together), 대만의 타이둥 다운아티스트빌리지 & 토코 스튜디오(Taitung Dawn Artist Village & Toko Studio), 태국의 텐터클(Tentacles)은 기후변화, 환경, 문화교류를 아우르는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전시기간 중 차례로 선보인다.

 

전시의 두 번째 섹션인 ‘변화의 바다’에 속한 세 개의 그룹은 다양한 계층의 참여와 함께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다는 공통된 이력을 바탕으로, 이번 전시를 찾는 관객들을 작품 깊숙이 개입 시키고자한다.

 

각 그룹이 직접 제작 혹은 설치한 파빌리온을 거점 삼아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에서 참여자들은 감각을 고루 활용한 활동을 통해 직접 작품의 일부가 되어 전시를 완성해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관람객에 보다 확대된 예술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보다 입체적으로 전시를 경험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불 & 민티오의 <바다가 조각나듯(As if the sea should part)>(2019)는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수교 50주년을 기념하여 커미션 작품으로 제작된 <우리는 해류를 집이라 부른다(The Current/s We Call Home)>(2018)을 새롭게 재구성한 작품이다. © 배종태 기자

 <해변가에 섬이 생긴다면>, 2019, (If There Is an Island on the Beach)> 대만 동해안 지역의 해양 쓰레기들을 이용한 작품으로 타이둥 지역의 이야기와 문화를 대표하는 ‘작은 섬’이 다대포 해변가에 설치됐다.타이둥 다운아티스트빌리지 & 토코 스튜디오는 바다라는 거대 자연과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해양 오염이라는 문제에 대한 주제 의식을 각각 시각적인 조형 작업과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 © 배종태 기자

 

아트 투게더는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를 그들의 작품 <상심의 웅덩이>에서 이끌어 낼 예정이다. 타이둥 다운아티스트빌리지 & 토코 스튜디오 팀은 관람객과 함께 노래를 부르고 해양 쓰레기를 활용한 생활용품을 제작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텐터클은 구조물 내에서 태국 전통 음식과 노래를 배우는 시간을 통해 국적과 관계없이 모두가 향유할 수 있는 공통적 감각을 일깨운다. 이러한 작품들은 상처에서 시작되어 변화를 이야기하는 2019 바다미술제의 주제의식을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29일 오후 2시 부산현대미술관 강의실에서 ‘아시아의 보이스(Voice of Asia)’를 주제로 국제 학술컨퍼런스도 개최한다. 학술컨퍼런스는 총 7명(팀)의 문화예술 전문가들이 참여하며 ▲기조연설 ▲주제발표 라운드테이블 순으로 진행된다. 기조연설’은 아데 다르마완(Ade Darmawan)(Ruangrupa, 2022 Kassel Documenta 전시총감독)이 맡았으며, 총 3명(팀)의 발제자가 각기 다른 주제로 발표한다.

 

  2019바다미술제는 작가와 현장을 방문하는 시민들과 소통하며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은 27일 열린 프레스프리뷰에서 기자들이 현장을 방문, 체험하고 있는 장면이다. 좌측 작품 - 태국의 텐터클은 어린 시절 사용하던 실전화기의 수신기 부분을 반으로 자른 형태의 구조물 <당신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I Have Something to Tell You>(2019)이다. 텐터클은 이 구조물 안에서 이루어지는 열흘간의 활동을 통해 바다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바다가 우리에게 말하고 싶은 메시지를 듣고자 한다© 배종태 기자


  알플레도 & 이자벨아퀼리잔의 바람의 이야기,  바다의 서사© 배종태 기자


대만 C-LAB(Taiwan Contemporary Culture Lab) 학예실장으로 재임 중인 우다쿠엔(Wu Darkuen)은 ‘20세기 후반 미술 생태계로부터 현재까지의 반영: 대만 C-LAB의 문화실험을 위한 방법론’이란 주제로 발제하고, 이번 미술제 참여작가 '알프레도&이자벨 아퀼리잔(Alfredo&Isabel Aquilizan)'은 ‘유약한 생태: 가족, 공동체, 창조적 공간’을 주제로 소통할 예정이다.

 

상하이국제종이비엔날레 한국관의 임종은 전시감독은 ‘삶의 서사로 풍부해지는 아시아 ‘미술’을 기대하며’라는 주제로 아시아 미술 생태계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이번 학술행사는 현시대의 예술 생태.공간 및 삶의 영역에 대해 논하고, 아시아 예술 생태계의 구성요소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부산과 한국의 지정학.문화학.정치학적 위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라운드 테이블에는 서진석 독립기획자, 아시아문화원 박남희 교육사업본부장을 비롯한 발표자들이 참석하여 심층토론을 진행하며 이후에는 청중 질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송성진 작가의  폐목재로 만들어진 작은 '1평'짜리 집은 물이 들어오는 만조 때는 다가갈 수도 없고 물이 빠지는 시간이면 관람객이 갯벌을 한참 걸어야 다다를 수 있는 자그마한 공간이다 © 배종태 기자

 '미술회관 속 산토끼가 탬버린을 치네'는 ‘플랫폼 산토끼’의 박상호, ‘탬버린’의 이은영, ‘현대미술회관’의 정윤주 등의 설치미술가들이 작품을 설명하며 현장에서 소통하고 있다.  © 배종태 기자

 

다양한 주제의 현장토크 전시기간인 10월에 총 4회에 걸쳐 매주 금요일 다대포 해변공원 내 제2잔디광장에서 진행된다. ‘현장토크’에는 올해 바다미술제 참여작가 및 역대 바다미술제 전시감독, 예술협동조합 관계자, 독립 큐레이터 등 다양한 문화예술계 인사가 참여해 토크와 강연.대담 등 다양한 형식으로 관람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아시아 지역 3 개국의 콜렉티브 그룹이 기획하고 직접 운영하는 이번 시민 참여 프로그램은 전시기간에 걸쳐 여러 차례 진행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사전신청으로 운영되며 세부사항은 부산비엔날레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휴일 없이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